Page 70 - 오산학 연구 6집
P. 70
한편, 현재 세마대의 위치와 관련하여 ‘세마대중건기’에 그 기록이 남아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마대중건기
…(전략)…현재는 보적사와 폐허로 된 황성과 성문만이 남아 있다. 풍진풍우 50여년 만에 초
석만 남은 옛터에 단기 4250년 8월 15일을 기하여…(중략)…세마대는 복구 되었고…(후략)…
이 기록을 보면 세마대를 복원 할 당시 위치와 규모를 지표상에 남아있는 초석을 기준으로 하
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형적인 부분과 주변에 잔존하는 석렬 등을 고
려 할 때 현재의 위치가 아닐 가능성이 있어 당시 초석이 원위치였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
다.
<도판 8> 좌 : 기초공사 중 확인 된 유물, 우 : 세마대 준공 모습(출처 : 사진으로 보는 오산의 기억 사진첩)
2. 변천과정
이번 절에서는 1957년 복원 이후 세마대에 대한 보수기록과 과거 사진 등을 검토하여 세마대
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세마대의 보수는 1979년 시작으로 총 5차례 보수기록이
확인된다(표 1). 보수는 지붕 및 마루, 단청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성곽 보수와 함
께 진행되었다.
68 이용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