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오산학 연구 6집
P. 75
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1977년 사진을 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배경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이승만 대통령 현판과 다르게 ‘洗馬䑓’ 현판은 색이 모두 바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색이 바랜
‘洗馬䑓’ 현판은 1979년 보수 전에도 그 모습을 확인 할 수 있고 이 당시 보수 대상에 포함되어
‘洗馬坮’ 현판과 동일한 배경색으로 보수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도판 13> ①1977년 세마대, ②1983년 세마대, ③보수 전 현판, ④보수 후 현판(출처 : 오산시청)
마지막으로 종보에 있던 태극기도 현판과 같이 정확한 변화 시점을 알 수 있다. 종보에 있던
태극기는 1974년에 촬영된 사진에서도 확인되는데 1979년 보수기록을 보면 내부까지 단청이
진행 된 것을 알 수 있고 준공사진을 보면 종보에 태극기가 지금과 같은 문양으로 바뀐 것을 확
인 할 수 있다. 종보의 태극기를 지운 연우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당시 보수가
문화재청의 설계검토를 받아 진행 된 것으로 볼 때 검토 단계에서 의견이 나왔을 것으로 추정되
고, 전통적인 장대에 태극기가 그려진 사례가 없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세마대 건립 및 변천과정 연구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