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 오산학 연구 6집
P. 61

① 『華城誌』山城

                 ⓐ 禿城
                 …(전략)…선조 임진(선조 25, 1592)년 왜구가 창궐할 때 도원수 권율이 이 성에 들어갔다. 성
                안에 샘이 적어 오래 지키기 어려웠다. 적이 염탐하여 그것을 알고서는 급히 공격하고자 하였

                다. 권공은 군졸로 하여금 적을 향하여 말을 세우고 쌀로 가루가 되어 흩날리게 하여 말을 씻었
                다. 적이 물이 있는가 의심하고 마침내 포위를 풀고 갔다. 뒤에 사람들이 지적하여 그곳을 세마

                대(洗馬臺)라고 일컬으니 곧 지금의 장대이다.…(후략)…


                 ⓑ 城堞

                 …(전략)…성 위에 장대 3칸이 있다.(정조 정미(정조 11, 1787)년에 세웠다.)…(후략)…
                 ⓒ 留守 朴綺壽 詩
                 …(전략)…대에는 일찍이 세마의 전설이 전하고…(후략)…



                 ② 『水原郡邑誌』山城
                 ⓐ 禿城

                 …(전략)…선조 임진(선조 25, 1592)년 왜구가 침범했을 때, 도원수 권율이 이 성에 웅거하였
                다. 성 안에는 샘물이 적어 오래 지키기가 어렵다는 것을 적이 알아차리고 급히 공격해 왔다. 권

                장군은 군사를 시켜 적을 향해 말을 세우고 쌀을 날려 씻는 척하였다. 이때 적은 성 안에 물이
                많은 줄 알고 포위한 것을 풀고 다른 곳으로 물러가니, 후인이 그곳을 가리켜 세마대라고 부르
                게 되었는데, 바로 지금의 장대이다.…(후략)…



                 ⓑ 城堞

                 …(전략)…성 위에 장대 3칸이 있다.(정조 정미(정조 11, 1787)년에 세웠다.)…(후략)…


                 ③ 『雲養集』健齋集

                 ⓐ 遊禿城山城
                 …(전략)…일찍이 섬 오랑캐에게 곤욕 당할 때
                 물길이 끊겨 병사들 오래 목말랐는데

                 쌀을 들어 말 등에 쏟아부었더니
                 멀리서 바라보고 물 뿌리는 줄 알았네



                                                                      세마대 건립 및 변천과정 연구  59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