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오산학 연구 6집
P. 117

하면 ‘국가지정문화재’이고 지자체가 지정하면 ‘시도지정문화재’가 된다. 지정문화재는 유형별로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로 구분한다. 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형문화재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

                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2)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을 말한다

                 가. 전통적 공연·예술
                 나.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다.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라. 구전 전통 및 표현
                 마.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바.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사.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3) 기념물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것
                 가.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나.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다.  동물(그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그 자생지를 포함한다),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오산시궐리사”와 “궐리사성적도” 문화재 명칭에 관한 제언  115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