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오산학 연구 4집
P. 69
표 3. 『화성지』의 독산성 내 주요 시설물 현황(1831년, 중부고고학연구소 2016 편집)
건물명 규모 건립시기 위치
장대(세마대) 3칸 1787년 건립 성위
1787년 개건
운주당 9칸 성내 남쪽
1790년 중수
3칸
삼문 1790년 개건 운주당 앞
행랑 11칸
1753년 중수
진남루 6칸 1790년 개건 운주당 남쪽
1831년 중수
아전청(이청) 9칸 운주당 동쪽
장교청 9칸 아전청 서쪽
관청 4.5칸 1805년 건립 장교청 서쪽
대청 3칸
사창 관청 서쪽
창고 60칸
오창 사창 동쪽
군기고(화약고) 26.5칸(2칸) 1805년 개건 오창 서남쪽
무고 3칸 관청 소속 군기고
서고 군기고 소속 〃
동고 군기고 소속 〃
보별고 군기고 소속 〃
보적사 21.5칸 구 세마사 동문 내
1831년에 저술된 『화성지』 내용 중 「독성중수기」를 참고하면 당시의 다양한 건물에 대한 기록
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무고나 서고, 동고와 같은 다양한 창고 건물들이 주목된다. 규모는 3칸
정도로 작은 편이며,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지만 건립연대를 보면 모두 1805년으로 확인
된다. 이는 순조대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 주요 건물들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정리하면
독산성과 관련된 사료에서는 군포나 성랑 등의 명칭이 보이지 않지만, 정면 3칸인 점을 비롯하
여 구조적으로 거의 유사하며, 성벽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건립 연대가 한양의 주변 산
성의 보수 시기가 조금 늦다는 점에서 이를 참고하여 건립하였을 가능성이 크며, 결국 건물지의
기능은 창고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오산 독산성 축대와 건물지의 성격과 양상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