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오산학 연구 4집
P. 72

참고문헌



               『三國史記』
               『北漢誌』
               『朝鮮王朝實錄』
               『華城志』


               강형웅, 2007, 『4世紀 漢城百濟의 關防體系 硏究』,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신영문, 2007, 「조선시대 도성 축조와 성랑」, 『학예지』 14.

               이용범, 2016,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변천」, 『오산학연구』 2.
               이용범, 2017, 「독산성 진남루 위치에 대한 재검토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오산학연구』 3.
               임성준, 2001, 『北韓山城 內 建築物의 配置 및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경기문화재연구원, 2014, 『여주 파사성Ⅱ - 2~4차 발굴보고서-』.
               경기문화재연구원, 2015, 『북한산성 성랑지 및 성벽 학술 발굴조사 보고서』.
               (財)高麗文化財硏究員, 2016, 『烏山 禿山城 -오산 보적사 요사채 증·개축부지 문화재 시(발)굴조사-』.

               기전문화재연구원, 2001,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시굴조사 보고서』.
               서울역사박물관, 2009, 『남산봉수대지 발굴조사보고서』.
               오산시·(재)중부고고학연구소·한신대학교박물관, 2016,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정밀지표조사』.
               오산시·(재)중부고고학연구소·한신대학교박물관, 2017,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중원문화재연구원, 2007, 『남한산성 – 암문(4)·수구지 일대 발굴조사』.
               토지박물관, 2002, 『남한산성 발굴조사보고서』.
               한신대학교박물관, 1999, 『독성산성 지표조사 결과보고서-독성산성 내부를 중심으로』.


























               70  노태호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