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오산학 연구 4집
P. 77

Ⅰ. 머리말





                                                                                          4)
                                                                               3)
                                                                       2)
                                                              1)
                 현재 오산시에 소재하는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독산성 과 궐리사 , 금암동 ㆍ외삼미동  고인
                돌이 있으며 이들은 국가 또는 시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독
                성여왕릉 이라고 조선시대부터 고적으로 기록되어 전해져 내려오는 유적이 있다.
                 독성여왕릉은 『畿甸營誌』, 『水原郡邑誌』에 기록된 고분으로 독산성을 방문한 장헌세자와 본부
                중군 이두환의 대화를 통해서 위치와 성격 등에 대해 미약하게나마 유추할 수 있다. 이후 독성
                여왕릉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다가 일제강점기 식산국 산림과(추정)에서 간행된 『京畿道 古
                      5)
                                                                                        6)
                蹟臺帳』 에 규모와 특징 등이 추가된 기록이 확인된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 오산시사 와 지표
                          7)
                조사 보고서 에서 독성여왕릉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독성여왕릉은 왕릉으로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이 빈약하고 현재 지형의 변

                화 등으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며 독산성처럼 형태가 완연한 것도 아니여서, 관심의
                                                                   8)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묘주 및 위치를 추론한 임종삼 의 연구를 제외하면 연구가 이루
                                9)
                어지지 않고 있으며  체계적인 조사 또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지역 향토유적에 대한 관심을 제고해 보고자 하는 차원에서 조선시대 문헌의
                기록과 최근 확인된 고적조사 자료를 통하여 독성여왕릉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를 실시하고자

                한다.









                1) 국가지정문화재로 사적 제140호이며 명칭은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이다.
                2) 시도지정문화재로 기념물 제147호이며 명칭은 오산시궐리사이다.
                3) 시도지정문화재로 기념물 제112호이며 명칭은 오산금암리지석묘군이다.
                4) 시도지정문화재로 기념물 제211호이며 명칭은 오산외삼미동고인돌이다.
                5) 殖産局 山林科(추정), 1916~1917,『京畿道 古蹟臺帳』.
                6) 오산시사편찬위원회, 1998,『烏山市史』下, 烏山市.
                7) 세종대학교ㆍ오산시, 2005,『烏山市의 歷史와 文化遺蹟』.
                8) 임종삼, 2002,「백제구원행궁과 독성여왕릉의 정체」,『禿山城』, 오산문화원.
                               2007,『오산의 역사와 독산성』, 오산문화원.
                               2015,「독성여왕릉禿城麗王陵의 정체에 대한 小考」,『오산학연구』, 오산향토문화연구소.
                9) 최근 2009년에 발행된 오산시사에서도 독성여왕릉에 대한 내용이 제외되어 있어 독성여왕릉에 대한 관심도는 10년전에 비해
                 현저히 낮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독산성여왕릉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75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