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오산학 연구 4집
P. 79

독산성 남쪽, 정확히는 진남루 남쪽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4)
                 한편, 수원군읍지에 기록된 여왕릉의 ‘麗’에 대해서 백제 진사왕‘餘暉’의 ‘餘’로 보는 견해 가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고려를 ‘麗’ 또는 ‘高麗’ 로 표기 하고 있고 특히, 기전영지와 수원군
                                                       15)
                읍지가 편찬된 19세기인 고종 때의 승정원일기 을 보면 고려 태조릉과 경릉(고려 문종)을 여왕
                릉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여왕릉의 ‘麗’는 고려로 해석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판 1> 『水原郡邑誌』 古蹟 禿城麗王陵



                14) 주10의 임종삼, 2015, 논문.
                15) 『承政院日記』高宗
                     고종 4년 11월 3일
                     傳曰, 麗王陵寢, 今旣修治矣。麗太祖陵,…(후략)…
                     고종 42년 8월 26일
                     …(전략)…長湍郡所在麗王景陵第三陵陵上修改事畢後, 遣秘書丞致祭事, 命下矣。…(후략)…


                                                                  독산성여왕릉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77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