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오산학 연구 5집
P. 51

라시대 대부완, 연화문 수막새 편 등과 함께 볼 때 7세기 중반에서 8세기 후반까지의 시기의 운

                영양상을 추정해볼 수 있다. 현재 조사된 성벽의 축조기법과 수습된 유물로 볼 때 성곽의 축조
                시기는 7세기 중반~8세기 중반으로 편년 된다. 다만 서울·경기지역의 삼국시대 석축산성의
                축조기법에 따른 축성 주체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견해가 현재까지 일치되지 않고 있으므로

                앞으로의 조사 결과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의 치소성과 관련하여 독산성 인근에서 조사된 오산 양산동 신라유적이 주목된다. 양산

                동 유적은 독산성의 북쪽 부근, 황구지천에 접한 산록 완사면에 위치한다. 조사를 통해 석렬 2
                기, 수혈 2기, 구상유구 1기, 주혈군 등이 조사되었으며, 출토유물은 6~8세기의 단각고배, 뚜
                껑, 대부완, 옹호류, 파수, 벼루 등의 다양한 기종의 토기류와, 철기, 석제품 및 토제품 등이 확
                        23)
                인되었다.  이 가운데 특히 명문 토기들이 출토된 점이 주목되는데, ‘水□’, ‘華山’ 등의 문자가
                새겨진 것이 있어 주목된다. ‘水□’은 ‘水城郡’의 ‘水城’일 가능성이 높으며, 독산성과 관련이 있
                는 시설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華山’은 인근의 ‘花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데, 화산

                (花山)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수원 일대의 거점이었던 수원고읍성의 진산(鎭山)격에 해당한
                다. 수원 고읍성의 중심 시기는 고려 이후이지만 발굴조사를 통해 최하층에서 통일신라 토기편
                                                                                        25)
                               24)
                이 출토된 바 있고 , 화산에서도 통일신라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곽묘가 발견된 바 있어 , 양산
                동에서 출토된 ‘華山’명 토기는 고읍성 주변의 ‘花山’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독산성, 양산동
                유적, 화산(花山)은 신라의 수성군(水城郡)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26)

                 한편 독산성의 남쪽에서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지곶동 석곽묘’는 조사 당시 지표에 석곽묘
                로 추정되는 석재와 당식대구(唐式帶具)의 과판 3점과 통일신라시대 인화문토기편이 수습되었
                   27)
                으며 , 고분의 위치로 볼 때 독산성과 관련된 인물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어, 차후 이 일대의
                고고학 자료가 축적된다면, 이 시기 독산성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독산성과 관계되어 전해지는 기록이 전혀 없어 이 시기 독산성의 역사적

                변화를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다만 현재까지 독산성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청자
                편의 유물이 일부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도 계속해서 운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러나 성 내에서 확인된 다른 시기 유구 및 유물과 비교하등여 고려시대의 흔적이 현저히 적게





                23) 이남규 외, 2009, 『烏山 陽山洞 新羅遺跡』, 한신대학교박물관.
                24) 李南珪 외, 2007, 『水原 古邑城』, 한신대학교박물관 p.108의 도면 46-6.
                25) 權五榮·權度希, 2002, 『花山 古墳群』, 한신대학교박물관.
                26) 권오영, 2009, 『오산시사』 1 , 오산시.
                27) 世宗大學校博物館, 2005, 『烏山市의 歷史와 文化遺蹟』. 앞의 글(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문화유적분포지도)


                                                                        오산 독산성의 가치성 연구  49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