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오산학 연구 5집
P. 46

독산성은 예로부터 한양에서 지방으로 내려가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였다. 독산성 바로 아
                                             6)
               래에 가설되어 있던 세람교(細藍橋) 는 조선시대 한양에서 삼남(三南)지방으로 남행하는 대로
               (大路)상에 위치했던 중요 교량으로써 독산성이 일찍부터 교통의 요지에 자리 잡고 있었다는 사
                           7)
               실을 증명한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통해 역로(驛路)를 살펴보면, 당시 한양에서 충
               청·전라를 향할 때 과천-수원-진위-평택을 거쳐 남행하였으며, 독산성은 그 중간지점에 위
               치한다.<그림 1>

                또한 독산의 서쪽으로 흐르는 황구지천은 경기도 서남부의 하계망인 오산천, 진위천, 안성천
                                                                                        8)
               과 연결되어 서해의 남양만(南陽灣)으로 나갈 수 있는 해상 교통의 장점도 갖고 있었다.  즉 독
               산성이 자리하고 있는 위치는 육지와 바다를 모두 연결할 수 있는 수륙양용(水陸兩用)의 지역적
                           9)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독산성의 입지는 경기 남부의 관문으로써 수원뿐만 아니라 수도 한양
               의 방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군사 전략적으로 매우 중시되었다. 독산성의 지리적 이점은
               조선왕조실록과 조선 중기 이후의 각종 지리지, 수원부읍지 등의 사료에 비교적 자세히 기록되

               어 있다.


                『풍천유향』 「수원독성산성형편」1         10)

                “내가 수원에 있는 독성산성의 지형을 살펴보니, 마늘 모양의 봉우리 하나가 큰 들 가운데 우
               뚝 솟아 있는데, 삼면은 절벽이고 길이 트인 남문쪽이 다소 평탄한 듯하다. …(중략)… 지난번

               왜구들이 서울에 가득히 주둔하고 있을 때에 도원수 권율은 호남의 근왕병을 이끌고 이 성에 와
               서 주둔하였는데, 수만 명의 왜적들이 종일토록 이곳을 포위 공격하였으나 조총 한 방도 제대로
               쏘아보지 못하고 물러갔다. 성을 올려다보면서 공격하기가 어려움을 여기에서도 알 수 있다. …

               (생략)





               6) 중앙문화재연구원, 2006, 『서수원-오산-평택 고속도로 송산IC구간 내 화성 안녕리 세람교지』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文化遺蹟分布地圖-烏山市-』.
                 -  세람교지는 2006년 서수원-오산-평택 간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따른 송산IC(현재 안녕IC) 구간 다리 공사 도중 건축물의
                  일부로 보이는 석재가 노출되어 한신대학교박물관이 문화재청에 신고함으로써 알려지게 되었다. 세람교지 조사에서는 교
                  각 기초석으로 추정되는 석재 3점과 다리 하부에 세굴(洗掘; 강물에 의하여 강바닥이나 강둑이 패는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깔았던 기초석 일부, 장대석 6매 등이 확인되었다. 세람교지 조사 시 나온 부재 39점은 한신대학교로 옮겨졌다.
               7) 한신대학교박물관, 1999, 『독성산성 지표조사 결과보고서 –독성산성 내부를 중심으로-』 .
               8) 畿甸文化財硏究院, 2001,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시굴조사보고서』, p106.
               9) 앞의 글(심승구, 2012, p.125.)
               10) 『風泉遺鄕』 「水原禿城山城形便」.(1990_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44  김정주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