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오산학 연구 5집
P. 43

Ⅰ. 머리말





                 독산성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운영되어온 유서 깊은 산성이며, 지역의 거점성 역할을

                담당해 온 군사·행정적 요충지였다. 독산성의 역사적 가치는 임진왜란 전기에 이루어진 독산
                성 전투의 승리를 통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조선 후기 도성의 산성 방어시스템이 구축된 계

                기가 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국왕의 행차가 여러 번 이루어져 임어처의 기능을 하였다. 1792년
                이루어진 독산성의 수축은 그 경험이 화성 성역에 곧바로 연결되었다는 점에서 화성 축성 범본
                의 역할을 수행했던 사실도 알 수 있다.

                 그런데 독산성은 이러한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해왔다. 그 이유는 다른 산
                성유적과 비교할 때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라 연구자들
                의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
                 그러나 오산시에서는 2016년 종합정비계획 을 수립하여 본격적으로 독산성에 대한 보존·정
                비 사업을 시작하였고, 현재 독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 성 전역에 대한 연차 발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간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토대로 정리하여 독산성의 가치

                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며, 이러한 시도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독산성의 연구가 다양하
                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Ⅱ. 독산성의 개관





                 오산 독산성은 백제시대에 처음 쌓은 것으로 전해지는 유서 깊은 산성이며 조선시대까지 운
                영되었다. 독산성은 해발 208m의 독산(禿山)의 산봉우리에 테뫼식으로 조성되었으며, 둘레 약

                1.1㎞의 성곽에는 동서남북 4개의 성문과 1개의 암문, 그리고 8개의 치(雉)가 있다. 현재 성 내





                ※ 본 고는 ‘2019 북한산성 국내학술 심포지엄-북한산성의 군사경관적 가치와 조선후기 도성방어치계연구 ’에서 발표한 ‘오산 독
                 산성의 가치성 연구’를 일부 수정하여 작성하였습니다.
                1) 오산시, 2016,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종합정비계획 보고서』.


                                                                        오산 독산성의 가치성 연구  41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