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오산학 연구 5집
P. 48
Ⅲ. 독산성의 역사·문화적 현황
1. 삼국시대~고려시대
독산성에 대한 역사 기록은 『삼국사기』에 처음 등장한다. 『삼국사기』에는 BC 8년(온조왕 11)
독산에 목책을 설치하였고, 373년 독산성 성주가 300여 명을 거느리고 신라에 항복하였다는 기
록을 통해 독산성은 주변에 300명 이상의 주민이 생활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독산
(禿山), 독산성(獨山城)으로 기록된 곳에서 삼국 간에 여러 차례의 전투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
12)
어 있으나 현재의 위치가 어느 곳인지는 불분명한 상태이다. 다만 삼국시대 한강유역의 점유
시기를 통해 오산지역 및 독산성의 지배세력을 유추할 수 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13
13)
년(BC 6)조 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가장 먼저 한강을 차지한 나라는 백제였으며, 이후 475년 고
구려 장수왕이 거느린 3만 군대에 개로왕이 목숨을 잃으며, 결국 백제는 웅진천도(熊津遷都)를
단행하고 한성백제 시기는 막을 내리게 된다.
『삼국사기』권 제23 백제본기 제1 시조 온조왕(溫祚王) 11년(BC 8년) 7월 조 14)
“여름 4월에 낙랑이 말갈을 시켜 병산책(甁山柵)을 습격하여 깨뜨리고는 100여 명을 죽이거
나 사로잡았다. 가을 7월에 독산책(禿山柵)과 구전책(苟川柵 : 현재의 용인)의 두 목책을 세워
낙랑의 침략을 막았다.”
『삼국사기』권 제24 백제본기 제2 근초고왕(近肖古王) 28년(AD 373년) 2월 조 15)
“봄 2월에 사신을 진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7월에 청목령(靑木嶺)에 성을 쌓았다. 독
산성(禿山城) 성주가 300명을 거느리고 신라로 달아났다.”
12) 앞의 책(京畿道史編纂委員會, 1998)
13) 『三國史記』 卷23 百濟本紀 第一 始祖 溫祚王 十三年 “
14) 『三國史記』 卷23 百濟本紀 第一 始祖 溫祚王 十一年 “夏四月 樂浪使靺鞨襲破甁山柵 殺掠一百餘人 秋七月 設禿山狗川兩柵 以
塞樂浪之路.”
15) 『三國史記』 卷24 百濟本紀 第二 近肖古王 二十八年 “夏四月 樂浪使靺鞨襲破甁山柵 殺掠一百餘人 秋七月 設禿山狗川兩柵 以
塞樂浪之路.”
46 김정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