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오산학 연구 5집
P. 38

시대에는 조사지역을 비롯하여 성 내에서 현재 확인되는 유물이 매우 빈약(조선시대 성벽 내탁

               부 상면에서 청자편 1점만 출토)하여 현재로서는 적극적으로 운영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붕괴된 삼국시대 성벽 적심 상면을 적갈색사질점토를 이용하여 정지한 후
               성벽을 축조하였다. 이 층에서 유물은 출토되지 않아 대략적인 축조시점을 파악하기는 어렵지

               만, ①권율 장군이 왜군에 대비하여 진지를 구축하였다는 기록(1592년)과 ②독산성이 처음 석
               성으로 축조되는 기록(1593년), 그리고 ③후기 수축층인 2차성벽 내탁부 성토층에서 전기에 해

               당하는 백자편 등이 출토되는 점을 참고하면





















































               도면 7. 독산성 성벽[북동치] 조사지역 입면도②(1:60, 3D모델링 편집)



               36  박현준·서승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