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오산학 연구 5집
P. 34
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it조사를 실시하였다. Pit내부에서는 암갈색사질점토의 하부에 크
고 작은 할석이 채워져 있는 양상으로 볼 때, 1차성벽의 축조와 함께 쌓여진 내탁부로 보이며,
이후 여장이 조성되면서 암갈색사질점토를 이용하여 피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성벽 및
내탁부를 노출하는 과정에서 삼국시대 기와편(선문), 고려시대 청자편, 조선시대 백자편, 도기
호, 옹기편, 기와편(어골문·삿자리문·청해파문·무문)등이 출토되었다.
사진 19. 조선시대 성벽 내탁부(단 시설) 전경(직상에서)
사진 20. 조선시대 성벽 내탁부(단 시설) 근경②(남서에서)
32 박현준·서승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