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오산학 연구 5집
P. 31

1) 조선시대 1차성벽



                 조선시대 1차성벽은 삼국시대 체성벽의 상면에 적갈색사질점토를 성토하여 내탁부를 조성하
                였으며, 그 층 일부를 ‘L’자상으로 굴착하여 외벽과 적심을 채워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발

                189~192m에 위치하고 있으며, 잔존높이는 300cm정도이다. 내탁부 층위양상으로 볼 때, 삼국
                시대 성벽의 외벽보다 약 1.2m 들여서 외벽 면석을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12. 조선시대 성벽(1,2차) 전경













                사진 12. 조선시대 성벽(1,2차) 전경                  사진 14. 조선시대 1차성벽 뒤채움 세부












                사진 15. 조선시대 1,2차 성벽 내 Pit 전경             사진 16. 조선시대 1,2차 성벽 내 Pit 수구 세부


                                                     오산 독산성 성벽의 축조방법과 변화양상에 대한 소고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