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오산시 지명과 유래
P. 45

청호동의  서남쪽  끝에  있던  우물로  마을  아래쪽에  있는  우물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  웃우물(우물)



                  청호동  마을  입구에  있던  우물로  마을  위쪽의  우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가운데우물(우물)



                  청호동  가운데  있던  우물로  예전에는  이  우물을  마을  전체의  식수로  이용하였다.





                  (4)  갈곶동(葛串洞)





                  1899년  발간된『수원군읍지』에  의하면  청호면  갈곶리로,  당시  청호면의  마을  중에

                  서  가장  으뜸가는  마을이었으나,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3동(청호,  고현)
                  일부를  병합하여  평택군  진위면  갈곶리로  불렸다가  1995년  4월  20일  다시  원래대
                  로  오산시로  편입된  마을이다.  마을의  유래는  여러  가지  설로  전한다.  일설에는  지
                  형이  곶(串)으로  되어  있어  갈곶,  갉지라고  하였다고  하고,  또  다른  일설에는  마을
                  의  지형이  칡넝쿨처럼  뻗어나가는  모양이라  갈곡이라  부르던  것이  갈곶으로  되었다

                  고도  한다.  한편  옛날  한  스님이  마을의  지형을  살펴보고  ‘마을의  서쪽에  있는  뇌머
                  리산(누에머리산)의  허리가  잘리거나  산의  머리  쪽을  갉아  먹으면  마을이  가루(粉)
                  가  되거나,  과부가  많이  생기거나  동네가  빈곤하게  된다.’는  말에서  연유하여  갈곶
                  이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뇌머리산의  누에  형상이  뽕잎  형태를  하
                  고  있는  오산을  갉아먹는  형상이기  때문에  경부선  철길을  놓으면서  철로에  돌도  깔

                  겸  해서  뇌머리산의  머리  부분을  잘랐다는  이야기도  전해  내려온다.  갈곶동  사람들
                  은  이  마을  이름을  가롯이라고도  부른다.  다른  일설에는  갈곶은  남쪽을  이르는  우
                  리말  ‘갈’과  고개의  줄임말인  ‘곶’이  합쳐진  말이라고도  한다.



                  ■  뇌머리산(蠶頭山)(산)



                  갈곶동의  서쪽  경부선  철로가  지나는  곳에  위치한  야트막한  야산으로  산의  생김새
                  가  누에의  머리처럼  생긴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예전에는  갈곶동이  큰  마을이었으
                  나  일제강점기에  일인들이  산의  서쪽으로  경부선  철도를  부설하여  돌이  많은  서쪽





                                                         -  45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