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오산시 지명과 유래
P. 121

여진  이름이다.



                  ■  장군바위(바위)



                  장수바위․장사바위․꼬꼬바위  등으로  불리는  바위로  지곶동  뒷산인  독산의  산성  남문

                  밑에  있는  바위로서  임진왜란  당시  왜군을  무찌른  권율장군을  기리는  뜻에서  붙여
                  진  이름이라는  설과  지곶동  서남쪽에  있다는  독산려왕릉과  연관지어  장군․장수․장사․
                  꼬꼬바위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  애기장군바위(바위)



                  장군바위의  다른  이름으로  아기가  태어나  놀던  바위로  그  아기가  커서  장군이  되었
                  다는  전설과  함께  붙여진  이름이며,  그런  전설  때문에  마을  아낙네들이  잉태와  득
                  남을  기원하던  바위라고도  한다.



                  ■  시내미다리(다리)



                  시내(川)  밑의  다리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양산동의  예전  세람교(세남교)를

                  지곶동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  선돌바위(바위)




                  쉰바위라고도  부르며  독산성  세마대의  남문  밑에  있는  바위로  생김새가  사람이  서
                  있는  것처럼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산을  오르다  너무  힘이  들어  쉬
                  어가는  바위라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전해진다.



                  ■  몽릉(고총)



                  애기릉·여왕릉  등으로  불리는  고총(古塚)으로  독산성  남문  밑에  있다는  기록(『수원
                  군읍지』-  1899년)이  있으며,  조선  영조  임금의  아들  장헌세자(사도세자)가  온양으
                  로  온천을  하고  환궁  길에  지나다  독산성에  올라  내려다보니  남문  밑에  커다란  고

                  총이  있어  옆에  있던  신하에게  물으니,  여왕릉이라고  대답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대화에  1300여  년이  지난  시절이라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의  왕릉이거나  그때의
                  고총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  때문에  일제강점기에는  일인들이  이곳을
                  조사한다는  명목으로  도굴을  한  것  같기도  하고,  여러  번  문화재적인  조사기록이




                                                         -  12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