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오산문화총서 8집
P. 71

보여주고 있다. 7호 돌널무덤에서는 완형의 해무리굽 청자 완이 출토되었다. 6·8호 움무덤에

                서는 다수의 동전이 출토되었는데 대체로 여러 시대에 걸쳐 있다. 종류를 살펴보면 개원통보(開
                元通寶, 621~975년), 소성원보(紹聖元寶, 1094년), 원풍통보(元豊通寶, 1078~1085년), 정륭원
                보(正隆元寶, 1158년) 등 수십여 종류에 이르는 동전이 각각 46, 48점이 부장되어 있었다. 이 외

                에도 4호 돌널무덤에서 8점, 서쪽에 인접한 가장동 유적(서경문화재연구원) 5-1지점 2호 움무
                덤에서도 8점이 출토되었다. 고려시대 동전과 함께 당, 송, 금나라의 동전이 다량 부장되어 있

                으므로 국제 무역에 종사하였던 상인이었거나 각종 동전을 수집하였던 유력자로 추정되기도 한
                다. 가장동 일대의 무덤은 만들어진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청자 등을 통해 12세기 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았다.
                             27)
                 외삼미동 유적 에서는 봉분을 감싼 석렬이 설치된 움무덤이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봉분이
                직사각의 형태로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이며, 그 규모는 가장 긴 축이 약 5m 정도이고 움무덤
                의 크기는 길이 약 2.3m이다. 먼저 묘자리를 굴토한 후 관 주변에 흙을 채워 무덤이 들어갈 자

                리를 만든 후 안치하고, 매장한 후에는 단면 사다리꼴 형태의 봉분을 만든 다음 주변에 돌을 쌓
                아 만든 것이다. 안장된 인물의 머리 쪽에는 도기 병과 항아리, 앵무새가 그려진 청자 대접, 국
                화 문양이 상감된 청자 접시, 청동 수저 등이 출토되었다. 청자의 문양으로 보아 해당 무덤은

                12~13세기 정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다.



























                그림 23. 외삼미동 유적 나지구 1호 움무덤(한백문화재연구원 2011)



                27) 한백문화재연구원, 2011, 『오산 외삼미동 유적』


                                                                       고려시대 오산의 유적과 유물  69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