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오산문화총서 8집
P. 24
좌측벽 세부 우측벽 세부
복원전 모습 복원후 모습(내측) 복원후 모습(외측)
그림 4. 동문지 현황(2022) 및 과거모습
동문지의 내부에는 마치 내옹성처럼 ‘ㄱ’자의 통로부를 이루고 있는데, 과거의 사진자료를 검
토해봤을 때 내옹성으로 축조된 것이 아니고 현대에 보적사를 정비하는 과정에 이와 같은 형태
로 형성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의 무사석 또한 신재를 채워 넣은 양상이 확
인되고, 현재 확인되는 바닥면을 이루는 할석 또한 차후 복원때 조성된 것으로 보여, 원래는 흙
다짐으로 바닥면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보적사의 앞쪽에 덧붙여
진 콘크리트로 북서쪽 방향으로 조성된 경사로가 지금과는 달리 북동쪽 방향으로 조성되어 있
어 차이가 확인된다.
2. 남문지
남문지는 성의 남동쪽에 위치한다. 남문지의 위치는 치5와 치6 사이이며, 치5로부터 북동쪽
으로 약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남문지는 해발 207m의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뻗어
22 박현준·서승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