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80

차츰  시계가  좋아지며  수원까지  보이던  시각은  스미스부대가  북한  인민군과  첫  조

                  우한  1950년  7월  5일  오전  7시경이었다.  8대의  전차를  앞세운  북한  인민군의  제4
                  사단  16·18연대  4,000여  명이  수원  쪽에서  스미스부대가  포진하고  있는  죽미령을
                  향해  진격해옴으로써  전투가  벌어졌다.























                                    1950년  7월  5일  오전  8시  16분  오산  죽미령에서  초탄을  발사하는  미  제52  야포대대


                  북한  인민군이  죽미령을  올라오는  순간  아군의  포병이  발사한  포탄이  작렬하였다.

                  그러나  적의  전차는  끄덕도  하지  않았다.  전차는  미동도  하지  않고  계속  전진해  왔
                  다.  북한  인민군의  전차대는  아군의  다양한  공격에도  유유히  보병진지를  통과해  죽
                  미령을  넘어가고  있었다.  이때  40여  분간의  전투에서  20여  명의  피해를  보면서도
                  적의  전차를  파괴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미군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왔다.
                    보병진지를  통과한  북한  인민군의  전차들이  죽미령  고갯마루에  올라섰을  때  미군
                  은  오전  8시  15분경  보유무기  중  가장  화력이  강한  105mm  곡사포의  대전차  포탄

                  으로  북한  인민군의  대전차(탱크T-34)  2대를  격파했다.  그러나  보유하고  있던  대전
                  차포탄  6발을  전부  소모하자  나머지  전차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이었다.  결국,
                  105mm  포대의  포병  사격으로  북한  인민군을  공격하였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
                  한  것이었다.  무기의  부족으로  중과부적이  된  것이다.

                    죽미령전투는  차츰  근접전으로  화하기  시작하였는데,  22발의  바주카포탄을  얻어맞
                  은  북한  인민군  전차는  끄떡도  하지  않고  기동해왔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경기관
                  총으로  응사하며  용전분투하다가  북한  인민군  전차병의  다발총탄에  맞아  전사한  켄
                  넌트  샤드릭  일등병은  미군  보병의  첫  전사자로  기록되고  있다.  75mm  무반동총
                  그리고  2.36인치  바주카포도  북한  인민군의  전차  대열을  완전히  저지시키기에는  역
                  부족이었던  것이다.  이  전투로  페리  중령이  부상했으나  후송을  거절하고  전투를  진

                  두지휘했다.  10분  후에  1개  반의  북한군  전차대가  고개를  내려오자  병사들은  공포
                  에  사로잡혀  진지를  이탈하여  도망쳤다.  그러나  장교들은  동요하지  않고,  자신들이
                  포수가  되어  적의  전차  1대를  파괴하였다.  이것을  본  사병들도  자기  위치로  돌아오





                                                           80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