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10

*오산시  역사의  기원







                  1.  유물로  본  오산시의  역사  기원





                    유물로  보는  오산의  역사는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한다.  지금까지  오산시에서  확인
                  된  구석기시대  유물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청호동유적과  내삼미동유적,  외삼미동
                  유적,  지표조사를  통해  알려진  갈곶동유적이  있다.  청호동유적에서는  750점의  구석
                  기가  수습되었으며,  석기의  종류에는  주먹도끼,  외날  및  안팎날찍개,  몸돌긁개,  여
                  러면석기  등의  자갈돌석기와  긁개,  밀개  등의  잔손질된  석기,  그리고  몸돌  및  격지

                  등이  있다.  청호동  구석기  유적은  기원전  4~3만년에  형성된  것으로  후기구석기시
                  대에  해당한다.  사용된  석재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규암이다.  내삼미유적에
                  서는  지표수습된  5점과  문화층에서  나온  29점을  포함하여  총  35점이  보고되었다.
                  석기로  사용된  석질은  석영맥암이며  종류는  몸돌과  양면찍개,  격지,  긁개,  홈날,  여

                  러면석기  등이  있다.  외삼미동유적에서는  모두  17점의  석기가  출토되었는데,  몸돌
                  10점,  찍개  2점,  여러면석기  2점,  긁개  2점,  홈날석기  1점이다.  석기  제작에  사용된
                  석재는  석영맥암이  12점으로  71%를  차지하며,  규암이  5점으로  29%에  해당한다.
                  외삼미동유적의  구석기는  현재까지  발굴된  구석기유적  가운데에는  가장  이른시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고고학적  성과에  의하면  오산에  처음  인류가  등장한  시기는
                  구석기시대  기원전  8~7만  년  전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향후의  발굴  조사에  따라

                  그  시기가  상향될  가능성은  있다.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주먹도끼는  1978년에
                  미군  병사  그렉  보웬(Greg  Bowen)이  한탄강변  전곡리유적에서  구석기시대의  석기
                  를  발견하면서부터  세상에  알려졌다.  세계  구석기학계는  1970년대  후반까지도  유럽

                  과  아프리카는  기존의  찍개문화에서  발전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를  이용하였고,  동
                  아시아는  찍개  전통이  계속  이어졌다는  하버드대학교  모비우스  교수의  구석기이원
                  론이  정설이었다.  그런데  연천  전곡리유적에서  동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주먹도끼
                  가  발견됨으로써  이  학설이  무너지게  되었다.  이  전곡리  선사유적  발굴  성과는  세
                  계  구석기학계를  놀라게  했다.  이렇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주먹도끼는  남한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는데,  오산의  청호동유적을  비롯하여  이웃지자체  지역인  화성의  오산

                  동유적,  청계동유적  등에서도  발견되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신석기시대의  유물로서는  오산시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유적인  오산  가장동유적
                  의  2개소  지점과  내삼미동유적에서  확인되었다.  가장동유적에서는  집터  1기(기원전
                  2800~2500년)와  소성유구  1기,  구덩이  유구  1기(기원전  1886~1756년)가  보고되

                  었다.  두  유구  모두  신석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연대치를  보여주고  있다.  오산의




                                                           10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