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오산학 연구 6집
P. 55
참고문헌
경기문화재연구원, 2012, 『烏山 水淸洞 百濟 古墳群』.
권도희, 2019, 「중부지역 마구의 편년과 전개」, 『접점Ⅱ, 남한지역 원삼국~삼국시대 마구의 편년』, 숭실대학교 한
국기독교박물관 제 16회 매산기념강좌.
권오영, 2014,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보』 85, 한국상고사학회.
권오영, 2019, 『해상 실크로드와 동아시아 고대국가』, 세창출판사.
김규호·강형태·이윤희, 2007, 「무령왕릉 유리제품의 특성분석(Ⅱ)」, 『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 보고서(Ⅲ)』, 국립
공주박물관.
김일규, 2015,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종일, 2004a, 「고고학의 철학적 토대」, 『한국고고학보』52, 한국고고학회.
김종일, 2004b, 「한국 중기무문토기 문화의 사회구조와 상징체계」, 『국사관논총』104.
김종일, 2006, 「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 『고고학』5-2, 중부고고학회.
김종일, 2007, 「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을 넘어서」, 『한국고고학보』63, 한국고고학회.
김종일, 2008, 「고고학적 범주화의 철학적 탐구」, 『고고학』7-1, 중부고고학회.
김종일, 2009, 「한국 청동기시대 남성 몸과 남성성의 형성」, 『물질문화와 농민의 삶』, 이태진교수 정년기념논총 간
행위원회 편, pp. 21~52, 태학사.
김종일, 2011, 「한국 선사시대 여성과 여성성」, 『한국고고학보』78, 한국고고학회.
남수진, 2013, 『烏山 水淸洞遺蹟 出土 環頭大刀의 金屬學的 硏究』,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리 루이스 스티그 소렌센, 2014, 『젠더고고학』, 진인진.
매튜존슨, 2009, 『고고학이론 : 이론』, 考古.
맹소희, 2017, 『백제한성기 화성·오산지역 고고학적 변화양상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슬기, 2011, 「오산 수청동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오산 수청동 출토 유리구슬 학술연구 발표회』,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고고화학연구실.
박슬기, 2012, 오산 수청동 분묘군 구슬의 특성 연구, 오산 수청동 고분군Ⅳ,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박준영, 2016a, 「한국 고대 유리구슬의 특징과 전개양상」, 『중앙고고연구』19호, 중앙문화재연구원.
박준영, 2016b, 「한국 고대 유리구슬의 생산과 유통에 나타난 정치사회적 맥락」, 『한국고고학보』100, 한국고고학
회.
이민희·김나영·김규호, 2017, 「오산 수청동 유적 부장 유리구슬의 전개양상」, 『보존과학회지』33-5, 문화재보존
과학회.
이창엽, 2007, 「中西部地域 百濟漢城期 木棺墓 變化」, 『선사와 고대』27, 한국고대학회.
李淸圭, 2002, 「 嶺南지방의 靑銅器에 대한 論議와 解釋」,『 嶺南考古學』30, 嶺南考古學會.
오산 수청동 고분군 출토 구슬의 양상과 의미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