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7 - 오산학 연구 6집
P. 187

조선시대 간선도로망은 『도로고(道路攷)』에서는 6대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와 산리고

                (山里考)』에서는 7대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서는 9대로,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
                는 10대로로 정리하고 있다.
                 이중 삼남대로는 조선시대 한양에서 삼남지방으로 연결된 도로로서 고려시대 남경-나주를

                잇는 노선을 계승하여 확대 개편된 것으로 보인다. 삼남대로는 『대동지지』나 『증보문헌비고』,
                『도로고』에서 얘기하는 해남로(海南路), 제주로(濟州路), 통영일로(統營一路), 통영별로(統營別
                  10)
                路) 로 불리는 노선으로, 해당 문헌들에서는 각 주요 도로마다 노선과 거리를 표시하였다. 위
                                                                                   11)
                문헌을 토대로 한양부터 천안까지의 삼남대로의 노선을 검토해보면 [표1]과 같다 .
                 각 문헌에서 확인한 삼남대로의 노선은 검토한 것과 같이 조금의 가감은 있으나 큰 줄기는 동

                일하게 이어지며 현 오산지역 일대를 포함한 수원부는 모든 문헌의 간선도로 상에 등장하고 있
                어 이 지역이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한 거점 중 하나였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표 1] 서울-천안 간 삼남대로 노선

                  경성京城-10동작진銅雀津-20과천果川-13갈산점葛山店-7벌사근천伐沙斤川-
                  10사근천沙斤川(미륵당彌勒堂)-30수원부水原府-20오산천점烏山新店(경로徑路;미륵당彌勒堂-20중두점-
                  10오매烏梅)-2청호역菁好驛(한강漢江-별현別院-20석우점石隅店-20청호역菁好驛)-8진위현振威縣-18-
                  갈현葛院-12소사점素沙店-3아주교牙州橋-15성환역成歡驛-10수헐원점愁歇院店-10직산현稷山縣-
                  7병장생우竝長栍隅-13비토리肥土里-10천안군天安郡…
                                                                                 『도로고(道路攷)』

                  경성京城-12동작진銅雀津-4승방평僧房坪-7남태령南泰嶺-7과천果川-8인덕원仁德院-3갈산점葛山店-
                  9사근평肆覲坪-5지지대遲遲臺-15수원水原-15하류천下柳川-15중미현中彌峴-8오산점烏山店-
                  12진위振威-10대백치大白峙-8갈원葛院-2가천加川-10소사점素沙店-3아교牙橋-7홍경비弘慶-
                  碑-10성환역成歡驛-5수헐원愁歇院;悉音所-5직산稷山-7병장승우幷長承隅-13비토리圮土里-10천안天安
                  …
                                                                              『대동지지(大東地志)』

                  경성京城-10동작진銅雀津-20과천果川-10갈산참葛山站-(노량진鷺梁津경유-10노량鷺梁 -22금천衿川-
                  28미륵당彌勒堂)-20미륵당彌勒堂-수원水原-유천柳川-25중저中底-10청호역菁好驛-8진위振威-
                  30소사素沙-20성환역成歡驛-40천안天安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10) 조선후기 10대로의 제6로인 통영일로와 제7로인 제주로는 동작진-삼례역까지는 노선이 동일하며 삼례역에서 통영과 제주방
                 향으로 각각 나뉜다.(『增補文獻備考』권24輿地考 12 및 『大東地志』권27程里考)
                11) 앞의 숫자는 각 지역 간의 거리를 말한다.


                                                                       烏山지역의 옛 交通路 硏究  185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