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 오산학 연구 4집
P. 146
Ⅱ. 선행 연구 분석
A. 당주계(唐州界) 직산(樴山)의 위치
3)
정희경 은 2017년 제2회 화성불교문화유적 학술발표회에서 원효가 성도한 당주계(唐州界) 직
4)
산(樴山)은 경기도 화성시의 당성(唐城) 일대를 가리킨다 고 주장하였다.
〈의상전〉이 기록하는 본국(本國) 해문(海門) 당주계(唐州界)와 〈월광사월랑선사대보선광탑비
문〉의 직산(樴山)을 당성(唐城) 일대로 보는 것이 학계의 다수의 의견이다.
현존하는 전기 자료의 종류와 특징을 깨달음과 깨달음 이후의 행적으로 나누었다. 중국과 한
국에 남아있는 자료의 검토로 두 나라의 후대인들이 인식하는 원효의 모습을 설명하였다.
중국 측 자료에서는 원효가 무엇을 깨달았는가? 그의 뛰어난 저서는 어떻게 저술되었는가?에
중점을 두었다. 한국 측 자료에서는 원효는 스스로 깨달았고, 뛰어난 저서를 남겼으며, 대중교
화를 위한 무애행을 실천했다. 성(聖)과 속(俗)을 넘나들던 원효의 모습은 조선시대에 더욱 다양
한 설화를 파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대승불교의 기본 정신인 보살행의 구현이기에 후대인
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분석> 정희경은 원효가 성도한 당주계 직산을 경기도 화성시 당성 일대에 비정하였다. 아울
러 원효의 다양한 전기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중국의 자료와 한국의 자료를 제시하
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동안 단편적이었던 원효의 일생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
료의 제시가 돋보인다.
B. 당항진(党項津)의 위치
6)
5)
정진술 은 2017 당성(唐城) 학술대회에서 신라 당은포(唐恩浦)의 위치를 은수포(銀樹浦) 에
비정하였다.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은수포길 194의 은수포 농원 부근으로 주장하였다.
3) 정희경, 불교학과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강사.
4) 화성문화원, 원효 전기 자료의 재검토, 제2회 화성불교문화유적 학술발표회,2018.
5) 정진술,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선임연구원, 전 해군사관학교 교수.
6) 은수포(銀樹浦), 신라 당은포의 위치, 2017 당성 학술대회, 화성 당성과 고대 포구, pp.21~42.
144 임종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