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오산학 연구 5집
P. 67
참고문헌
京畿道史編纂委員會, 1998, 『京畿道史資料集- 古代篇·高麗篇』, 『三國史記』.
畿甸文化財硏究院, 2001,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시굴조사보고서』.
김길식, 2019, 「한성도읍기 백제 산성과 주변유적 네트워크-화성지역 사례를 통하여-」, 『동방성곽지국 : 고대산성
–특별전 <백제의 산성> 연계강좌-』, 한성백제박물관.
金王國, 2016, 『백제(百濟) 한성기(漢城期) 저장시설(貯藏施設) 확산(擴散)의 동인(動因)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
혈을 중심으로-』.
심광주, 2019, 「統一新羅 治所城 調査現況과 特徵」, 『쟁점 중부고고학, 무엇이 중요한가?』, 중부고고학회 2019년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심승구, 1999, 「임진왜란기 군사지휘권의 추이와 성격」, 『임진왜란과 권율장군』, 전쟁기념관.
심승구, 2012, 「임진왜란 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 –전술적·전략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37권.
烏山市, 1998, 『烏山市史·下』.
오산시, 2005, 『禿山城 보수정비 기본계획 수립 학술연구용역』.
오산시, 2009, 『오산시사』 1.
오산시, 2014, 『독산성 남문(진남루) 복원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오산시, 2016,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종합정비계획 보고서』.
오산시·한신대학교평생교육원·한신대학교박물관, 2019, 『교육·문화도시 오산의 역사문화 바로알기』.
유연성, 2014, 『임진왜란기 한양 주변 전투의 전술적 의의』.
이용범, 2016,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변천 –보수기록을 통하여-」, 『烏山學硏究(Ⅱ)』.
이형원·강정식·정지영, 2018, 「오산 독산성 백제·신라 유물의 고고학적 의의」, 『烏山學硏究(Ⅳ)』, 오산향토문
화연구소.
정해득, 2009, 『正祖時代 顯隆園 造成과 水原 移邑 研究』.
정해득, 2016, 「고려~조선시대의 오산」, 『오산 박물관 건립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趙湲來, 2001, 「金千鎰의 의병활동과 그 성격」, 『임진왜란과 湖南地方의 義兵抗爭』, 아세아문화사.
중부고고학연구소·한신대학교박물관, 2019,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3차 정밀발굴조사 용역 약식보고서』.
중앙문화재연구원, 2006, 『서수원-오산-평택 고속도로 송산IC구간내 화성 안녕리 세람교지』.
최홍규, 1996, 「수원지방 3·1운동의 역사적 배경」, 『3·1독립운동과 민족정기』.
한신대학교박물관, 1999, 『독성산성 지표조사 결과보고서 –독성산성 내부를 중심으로-』 .
한신대학교박물관, 2002, 『花山 古墳群』.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문화유적 분포지도 –오산시-』.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水原 古邑城』.
오산 독산성의 가치성 연구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