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오산학 연구 5집
P. 65

로 이어지며 관방처로 계속해서 주목받는 배경이 되었으며, 나아가 정조가 수원 화성의 신도시

                를 세우고 독산성에 장용영 외영을 설치하게 된 까닭도 바로 이 같은 독산성이 갖는 전략적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1792년 독산성의 수축은 1794년 화성 성역에 앞서 진행된 성역으로서 그 경험이 곧바로 연결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특히 1796년 화성이 완공된 후 화성과 독산성의 협수체제
                는 장용영(壯勇營)이라는 정조의 친위부대에 의해 더욱 견고한 방어체제를 구축하면서 정조의

                개혁정치를 위한 군사력 강화의 전진기지로서의 역할을 하였고, 이러한 군사력을 토대로 수원
                                                                     85)
                은 경기남부지역 웅진(雄鎭)으로서 그 위상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한 독산성은 성 내외에 수
                백호의 민가(民家)가 거주하였던 생활공간이었으며, 167칸이 넘는 관청(官廳)이 들어서 있던 군

                사행정의 복합 중심지였다.







                Ⅴ. 맺음말





                 현재까지 독산성의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그동안 이러

                한 이유로 주목받지 못해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독산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독
                산성의 가치성을 확인할 수 있는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독산성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지역의 거점성 역할을 담당해온 군사·행정의 복합 중

                심지였다. 독산성이 오랜 시간 요충지로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로 수륙양용(水陸兩用)의 지리적
                이점을 가졌던 요인이 또한 독산성은 성 내외에 수백 호의 민가(民家)가 거주하였던 생활공간이

                었으며, 167칸이 넘는 관청(官廳)이 들어서 있던 행정의 중심지였다.
                 독산성의 중요성은 임진왜란 전기에 이루어진 독산성 전투의 승리를 통하여 발현된다. 독산
                성 전투는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을 대승으로 이끌어준 중요한 전투이며, 더욱

                이 독산성 전투의 승리는 자신의 향촌과 나라를 방위하고자 했던 지방 의병들과 함께 이룩한 승
                첩이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또한 독산성 전투는 당대 최고의 병략가였던 도제찰사 서애 유성룡
                의 관방론을 갖게 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어 조선 후기 도성 주변 산성 중심의 방어시스템을 구




                85) 앞의 글(정해득, 2009, 박사학위논문)


                                                                        오산 독산성의 가치성 연구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