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오산문화총서 8집
P. 77

Ⅰ. 들어가며





                 본고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발굴조사를 통해 알려진 유적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원

                삼국~삼국시대 오산의 문화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오산시를 비롯하여 인접한 평
                택, 화성, 용인, 안성 등의 경기 남부지역은 근래 원삼국시대 마한과 삼국시대 백제의 문화상이

                꾸준히 확인되는 지역으로서 고고학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그동안 오산의 고대문
                화에 관한 연구는 사적으로 지정된 독산성의 학술적 가치에 주목하여 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 외 금암동 고인돌군과 외삼미동 고인돌 등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된 중요 선사유적 일

                부가 주목되어 왔다. 그러나 세마동, 외삼미동 및 내삼미동에서 삼국시대에 해당되는 대규모 매
                장유적 및 생활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궐동과 청학동, 탑동, 두곡동 등 오산천 유역에서도
                원삼국시대까지 시기를 올려볼 수 있는 매장 및 생활유적이 확인되어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

                에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오산시에서 조사된 유적들을 검토하여 원삼국시대와 삼국시
                대 각 시기별 문화상을 파악하고자 하며 오산지역이 마한의 국읍에서 백제 지방으로 편제되는
                양상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독자들의 원활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내용 전개에 주로 사용되는 고고
                학 연구분야에서의 시대구분을 비롯한 몇가지 개념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원

                삼국시대(原三國時代)’는 한국고고학에서 사용되는 시대구분 명칭 중 하나로서 초기철기시대                              1)
                에서 삼국시대 사이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연구자마다 원삼국시대의 범위를 보는 입장에 약간
                                                                                       2)
                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그 실연대는 기원 전후~기원후 300년까지로 정의된다 . 원삼국
                시대는 흔히 알려진 고구려-백제-신라가 세력을 다투던 삼국시대에 앞서 그 모태가 되는 각
                지역의 정치체들이 존재했으며 일정한 문화를 형성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여러 정치체들 중 마
                                                                                            3)
                한(馬韓)은 지금의 경기도와 충청, 전라 지역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존재했던 세력으로 기록 되
                어 있으며, 약 54개의 소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소국 중 오늘날 천안·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곡교천 유역에 존재했던 것으로 비정되는 목지국(目支國)이 맹주 세력으

                로 존재했으며 목지국의 수장이 곧 ‘한왕(韓王)’으로서 마한세력 전체를 직·간접적으로 통제하



                1) 기존의 청동기문화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문화적 특성 때문에 붙여진 시대명으로 중국에서 철기가 일부 유입되는 가운데 세
                 형동검, 세문경 등 기존의 청동기문화가 지속되며 점토대토기와 같은 새로운 토기문화가 유입되는 등의 문화적 변화가 보인다.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고고학사전』.
                3) 원삼국시대 마한과 백제에 관한 기록은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 위서 동이전(三國志 魏書 東夷傳)에 기록되어 있다.


                                                           고고유적을 통해 본 원삼국~삼국시대의 오산  75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