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155

우리는  이  오산죽미령전투와  오산갈곶동전투를  합하여  오산전투라  한다.  오산죽미

                  령에  오산유엔군초전기념비와  기념관이  세워져  있으며,  이  주변에  오산죽미령평화
                  공원이  세워졌다.
                    1960년  3월  13일  오산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은  제4대  정·부통령  부정선거  음모
                  를  규탄하며  오산장터에서  시위운동을  일으켰다.  오산  4·19혁명으로  오산읍에서는
                  읍의원  선거가  행해졌다.  이  의회는  5·16군사정변으로  6개월  만에  해산되었다.

                    1968년  12월  경부고속도로가  오산까지  우선  준공되었고,  1969년에는  오산에서  천
                  안까지  개통되었다.  1970년  6월  화성군청사가  수원에서  오산으로  이전하여  화성군
                  의  중심지로서  오산읍시대가  열렸다.  이  화성군청사는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되고,
                  화성군이  화성시로  승격되며  화성시청사가  남양으로  이전하며,  매각되어  현재는  오
                  산롯데마트가  들어서  있다.
                    1990년  5월  30일  오산시의회  청사가  오산시  청사  본관  3층에  세워졌다.  1991년

                  지자체  선거가  실시되어  시의회가  탄생하였고,  시의원  7명,  경기도의원  2명이  선출
                  되었다.  1995년  6월  지방자치시대  부활을  여는  첫  민선  오산시장이  선출되었다.
                    1994년  6월  오산문화원이  개원  출범하며,  오산  문화·예술의  활성화의  시동을  걸었
                  다.  2006년  12월  14일에  오산예총이  결성되었고,  2012년  7월  13일에는  오산문화

                  재단이  설립되었다.  바야흐로  오산문화의  다양성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오산의  교
                  육은  평생교육,  혁신교육으로  일별되는  ‘학교  밖  교육’인  오산  전  지역이  캠퍼스인
                  교육에  특화된  점이  돋보인다.  ‘학교  안  교육’과  함께  평생  배우고  익히는  세계  유
                  수의  시민교육이  살아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2000년에는  오산하수종말처리장이  가
                  동되었는데,  1일  5만7천t  처리용량  규모  설비동,  관리동,  유입펌프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처리장  위로는  공원을  조성하여  현재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공원이  오산맑음터공원이다.
                    이  외에도  오산수청근린공원  등  오산  곳곳에  소형  공원들이  들어서며,  도시의  쉼
                  터,  허파  역할을  하고  있다.  오산시청사,  6개의  행정동주민센터가  새롭게  건축되어
                  주민의  민원을  돕고  있으며,  오산법원과  등기소,  화성오산교육청,  오산경찰서,  6개

                  동  도서관,  오산시립미술관,  오산유엔군초전기념관(박물관),  각종  사회단체  등이  생
                  겨나면서  활동적인  오산시가  되었다.  최근  민선  6기  기간인  2017년,  2018년도의
                  시정방침을  통해  들여다보면  작지만  강한  도시를  유감없이  표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살아있는  경제도시  실현,  살기편한  첨단도시  건설,  살고  싶은  문화도시  조
                  성,  살기  좋은  환경도시  실천,  함께하는  복지도시  구현,  믿음  주는  행정도시  구축,
                  친환경  명품도시로서의  눈부신  대변신이  돋보인다.  운암단지,  세교단지  등의  택지도

                  개발되며  인구가  늘고있는  상태이며,  개발이  완전히  끝나는  2020년대에는  30만  명
                  의  인구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에  독자적  행정을  펼친  기간이기도  한  오산
                  시  승격  30주년을  맞이했다.








                                                           155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