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1 - 오산학 연구 6집
P. 211
그리고 호적에 이용우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화성군 동탄면 송리에서 출생하였는데 그 번지는 알 수가 없다. 화성군 오산읍 부산리 60번지로 분가
하였다.” 10)
이용우의 출생지는 동탄면 송리인데 그 번지는 알 수 없다고 하였고, 오산읍 부산리 60번지로
분가하였다고 하였는데 몇 년도에 분가를 하였는지에 대하여는 기록되지 않았다.
이용우의 출생 기록은 호주(戶主)인 李鐘河를 아버지로, 朴錦蕉(慶州朴氏)를 어머니로 1899년
11)
4월 5일 출생하였다고 기록되었다. 그리고 서기 1987년 5월 6일 오전 7시 25분 안성군 죽산에
서 평택 오는 구급차 내에서 사망하였고 동거자인 아들 이옥균(李玉均) 동월(5월) 16일 사망신
고를 하였다.
그리고 호적의 기록을 통하여 이용우 선생이 부산동에 거주하면서 이옥례(1925년생), 이옥균
(1927년생)을 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보아 이용우의 호적을 기준으로 보면 부산리 60번
지에 이종하 부부, 이용우 부부, 이옥례, 이옥균 등이 함께 살다가 이용우 직계가 원리 60번지
로 분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용우가 원리로 분가할 당시까지 이종하가 호주였다는 점과 이용우의 첫째 딸 이옥
례가 1925년생, 이옥균이 1927년생으로 부산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원리에서 출생한 이옥범이
1931년 4월생임을 근거로 삼을 수 있다. 그러니 호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경기재인청의 도
대방의 계보를 잇는 이종하 집안이 부산리에서 거주한 기간은 적어도 1925년을 전후하여 1931
년 3월까지일 것으로 추정된다.
10) 華城郡 東灘面 松里 不詳番地에서 出生 華城郡 烏山邑 釜山里 六○番地 戶主 李鐘河 子 分家
11) 戶主와의 關係 父 亡 李鐘河, 母 亡 朴錦蕉의 男, 本 慶州
부산동 마을신앙의 의의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