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24

석식이  혼재되어  있는  오산시  외삼미동고인돌은  매우  특이한  형태로  문화사적으로

                  도  중요하다.
                    껴묻거리는  토기와  석기가  대부분이고  양평군  상자포리  고인돌에서  세형동검이  발
                  견되었다.  토기류는  민무늬토기가  많으며  드물게  구멍무늬토기,  골아가리토기,  붉은
                  간토기  등이  발굴되었다.  특히  안산시  선부동  6호  고인돌에서는  무덤방  옆  민무늬
                  토기를  깨트려  뿌린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고인돌  사회의  제례의식과의  연관성

                  을  보여준다.  석기류는  간돌검과  화살촉,  반달돌칼이  대부분이고  돌끌,  돌도끼,  숫
                  돌이  발굴되었다.
                    경기지역  고인돌의  연대는  껴묻거리로  볼  때  대부분  청동기시대(양평  양수리고인
                  돌의  경우  방사성동위원소  측정이  3900±200bp이지만,  대부분은  3000년  전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오산의  고인돌





                    오산에서  청동기시대는  많은  고인돌이  분포돼  있으므로  오래전부터  이  지역에  청
                  동기시대의  오산인이  생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웃  지자체보다도  많
                  은  수의  고인돌이  분포하는  상황이라  청동기시대에는  이곳이  인구가  더  많지  않았
                  을까  짐작한다.  망실되고  파괴된  고인돌이  많았으리라  본다.


                  그럼  오산의  고인돌을  개별로  들여다보자.

                  (『오산시사』와  『오산시의  역사와  문화유적』을  참조하여  정리)


                  (1)  오산  외삼미동  고인돌



                    외삼미동  384번지에  위치하는  고인돌로서  반월봉(해발118m)  서북사면에  있다.  경

                  기도  기념물  제211호로  지정되었다.  모두  2기인데  북쪽의  것을  1호,  남쪽의  것을  2
                  호로  보고되어  있다(한신대박물관).  청동기시대  후기에  속하는  유적으로서  탁자식과
                  개석식이  혼재되어  있는  희귀한  예이다.
















                                                           24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