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22
★개석식 고인돌:
개석식 고인돌은 바둑판식과 같은 형태로 맨땅 위에 덮개돌이 있는 형태이다.
오산의 고인돌은 탁자식인 오산외삼미동고인돌 제1호를 제외하곤 개석식이다.
세계문화유산인 한국의 고인돌(강화, 고창, 화순)은 더욱 종합적이며 체계적인 연
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고인돌은 고조선의 표지유물로서 고조선의 강역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라는 점에서 앞으로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고인돌의 건축 연대
고인돌이 언제 건축되었는가는 고인돌에서 출토되는 유물이나 유기물의 연대 측정
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문화재청 발굴단이 5기의 고인돌을 발굴한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 유적에서 채집된 숯에 대해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으로 연대를 측정한 결과
기원전 2325년경의 것으로 산정됐다. 미국의 고고학자 사라 넬슨(Sarah Nelson)은
경기도 양수리의 고인돌에서 발굴된 유물들이 기원전 2665~2140년 것들로 추정된
다고 했다. 북한 학자들은 우리나라의 고인돌이 기원전 4000년대 후반기에 생겨나
기원전 2000년대 전반기까지 성행했으며, 기원전 200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서 점
차 사라지기 시작했다고 본다.
북한은 평양 일대에서 발굴된 고인돌을 만들어진 시대와 발굴 지역의 명칭을 따서
침촌형, 오덕형, 묵방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가장 먼저 생긴 형식이 침촌형인데 기
원전 4000년대 후반기에 생겨나 기원전 3000년까지 성행했다고 보고 있다. 오덕형
은 기원전 3000년대 후반기에 생겨나 기원전 2000년대 전반기까지 성행했다고 본
다. 묵방형은 가장 늦게 생겨난 형식으로 기원전으로 3000년대 전반기에 시작하여
기원전 2000년대 전반기까지 존속했다고 한다.
유럽의 경우 고인돌 건축 연대는 기원전 2500~2000년 사이인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영국이나 프랑스의 경우 가장 오래된 고인돌의 연대는 기원전 4800년까지 나오
고 있다. 이에 따라 기원전 4000~3000년대에 이미 고인돌이 유럽 전역에서 축조
되었다는 설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5)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파된 고인돌
유럽의 고인돌과 한반도의 고인돌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해온 변광현 교수는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