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23

고인돌의  기원을  한반도로  본다.  그에  따르면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고인돌은  형태나  기능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발견되는  원
                  초적이고  기본적인  고인돌  양식이  유럽  대륙의  서쪽  끝인  영국과  아일랜드  지방에
                  서  발견되는  데  반해,  영국에서  흔한  고인돌  양식은  한반도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고인돌이  한반도를  비롯한  극동지역에서  기원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변광현  교수는  한반도  황주와  사리원  일대에서  고인돌이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후  요동지방과  한반도  남해안  지방으로  퍼지면서  동시에  유라시아  대륙의  해안
                  지방을  거쳐  급속도로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고  주장한다.  아직까지  이  주장에  동조
                  하는  학자들은  많지  않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  또한  적지  않다.
                    ‘청동기  문명이  시베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으로  전파됐다.’는  핀란드  학자  아스페
                  링의  주장,  ‘청동기  문명이  유럽에서  아시아로  전파된  것이  아니라  극동  아시아에서

                  발생하여  유럽으로  전파됐다.’는  덴마크  학자  와르셰의  주장  등등.  이종호  박사는
                  고인돌이  청동기시대의  유물이며  기원전  4000~3000년  사이에  건축되었을  개연성
                  이  있다고  말한다.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고인돌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

                  파되었다면,  청동기  문명도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고인돌이나  청동기  문명이  고조선  지역에서  시작하여  유럽으로  전파되었음이  입증
                  되면  이는  세계  고고학계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것이다.






                  2.  경기지역  고인돌





                      한반도의  허리에  자리한  경기지역은  한강,  임진강,  안성천  등  크고  작은  강과  하
                  천이  흐르고  그  가장자리에는  구릉지대가  있어  여러  고인돌  유적이  분포한다.  경기
                  지역  고인돌의  형태를  구분하면  크게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경기도의  고인돌  형태는  개석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에는  700여  기의  고인돌들이  남아  있으며  강이나,  하천의  형태에  따라
                  그  특징은  조금씩  다르다.  한강  유역에는  서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하
                  며,  임진강  유역은  강  옆이나  주변에  자리  잡고  있다.  안성천  유역은  샛강인  오산천
                  의  상류에  물흐름과  나란한  방향으로  밀집되어  있다.
                    경기도의  탁자식  고인돌은  북부와  남부지역의  고인돌  형태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안성천  유역  인근의  고인돌  중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은  오산시  외삼미동고인돌,  화성시  병점동고인돌,  화성시  수기리고인돌들인데,  이
                  들은  덮개돌이  들려  있지만  전형적인  탁자식고인돌이  아니라  굄돌을  옆으로  눕힌
                  변형된  형태의  것으로  이곳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구조이다.  더구나  탁자식과  개



                                                           23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