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144
*오산천烏山川(오산시 지경 내에 속한 오산천)
오산천은 옛 용인시 구성면 동백리, 중리의 보개산(현재 동백지구 향린동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용인시 기흥구 기흥동에 신갈천(종전의 오산천 중에서
2017년 4월 용인구간 10.35km를 지방하천 신갈천으로 명칭 변경)이루고 남쪽으로
꺽여 흘러 신갈저수지를 이룬다. 이 물이 계속 남쪽으로 흘러 화성시 동탄의 서쪽
을 거쳐 오산시의 오산동, 누읍동을 거쳐 계속 남류하여 평택시 진위면과 서탄면의
경계를 이루고 진위천과 합류하는 지점을 종점으로 하는 국가하천이다. 총 길이는
15.39km, 유로연장은 29.5km, 유역면적은 152.8㎢, 기점의 하폭은 79m, 종점의
하폭은 277m이다. 오산천의 동쪽에는 넓은 충적퇴적에 의하여 생긴 넓은 들이 발
달되어 곡창 지대를 이루었는데 오늘날의 오산시 운암들로서 곡창지대를 이루었으
나 지금은 택지로 개발되어 아파트 숲으로 변했다.
오산천은 오산의 젖줄이며 오산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오산천은 오산 발전의 상징
이며 오산의 대외적인 이미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갖는 대표성을 갖고 있다. 특
히 오늘날 오산천은 오산시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시가지 형성과 미래의 명품도시로
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다.
오산천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어 왔는데, 현재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이름은
문헌에 나타난 것이다. <오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고문헌을 조사하여『오산시사』
에 기록한 오산천의 명칭 변화를 알아본다.
●1481년 -성종(成宗)조에 노사신이 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용인현 산천
(山川)조 구흥천을 설명하면서 수원부 오산원천이란 이름이 나온다.
●1611년 -광해군(光海君) 3년에 발간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에
도 위와 동일한 오산원천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1753년 ; 이중환(李重煥:1690~?)이 쓴 택리지(擇里志)에는 오산(鰲山)이란 지명
이 나오고 오산장(場)이 3일과 8일(당시엔 당연히 음력 사용)에 열린다는 기록이 나
온다.
●1789년 -정조(正祖) 13년에 간행된 수원부읍지의 산천조에 오매(烏梅)천으로 기
록되어있다.
●1793년 -수원부읍지에서도 오매천으로 기록되어 있다.
●1800~1834년 -순조(純祖) 때에 발간된 여지도(輿地圖)에는 오천(烏川)으로 기록
되었다.
●1831년 -순조 31년에 간행된 화성지(華城誌)에서는 오매천으로 표기되었다.
●1834년 -김정호(金正浩)가 그린 청구도(靑邱圖)에서는 토범(菟汎)천으로 표기되
었는데 여기서 토는 예전에 오(烏)와 같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1835년 -위의 청구도와 마찬가지로 김정호가 쓴 청구요람(靑邱要覽)에서는 토현
- 1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