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7 - 오산학 연구 6집
P. 157

<예시 2>

                 ○ 전시주제 : 한국전쟁 이산가족
                 ○ 연계교육 : 평화통일교육, 탈분단교육, 평화감수성교육
                   - 폭력의 종류 : 구조적 폭력

                   - 지식 : 한국전쟁 이산가족사
                   - 기술 : 토론, 비판적 사고

                   - 가치/태도 : 상호이해, 관용, 공동체의식
                 ○ 연계행사 : KBS 이산가족 방송 재연, 연극 등



                 <기타 예시>
                 ○ DMZ : 생태교육·평화통일교육
                 ○ 한국전쟁 참전국의 문화 : 다문화교육

                 ○ 북한의 문화 : 탈분단교육·평화통일교육
                 ○ 전쟁으로 인한 환경파괴 : 환경교육·생태교육
                 ○ 받던 나라에서 주던 나라가 된 대한민국 : 국제관계교육·세계시민교육








                Ⅳ. 맺음말





                 박물관은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여 관람객에세 제공한다. 사람들이 박물관에 오는 이유는 이

                러한 전시물을 통해 텍스트나 이미지로만 접하던 것을 직접 ‘체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콘텐츠가 다양하지 않은 박물관은 재방문하지 않는다. 박물관이 지역사회와 함께 호
                흡하고 매일매일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이 되기 위해서는 시대의 니즈를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한번’ 가볼만한 곳이 아닌 ‘한 번 더’ 가볼만한 곳이 되어
                야 한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와 자료수집·관리, 그것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제공하

                는 것은 소임이자 기본이다. 나아가 그 기관에서만 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를 발굴하여 정체성
                을 확장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었을 때 수용자가 과거 사실을 통



                                                  평화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유엔군초전기념관의 발전방향  155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