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오산문화총서 7집
P. 33
사진 8-2. 조선시대 상층면 내 등성시설(좌상~좌하-동쪽 등성시설, 우하-서쪽 등성시설)
문지 내부에는 확석이 2매 확인되었으며, 확쇠의 형태는 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너비는 약
20㎝이다. 하층문지의 규모는 너비 1.8m, 길이 4m로 개거식을 이루고 있다. 측벽은 직선을 이
루고 있고 하층 문지보다 대형의 할석을 이용하여 축조된 양상이 확인된다. 상층문지와 연결되
는 내벽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는데, 가공하지 않은 할석을 이용하여 허튼층으로 쌓았다.
4. 등성시설
등성시설은 북문지의 외부의 전면과 내부에 조성된 양상이 확인된다. 문지 전면에서 확인되
는 등성시설은 하층 문지와 연결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약 3~4단 정도가 확인된다. 적갈색
사질점토를 이용하여 내부를 채운 후 가공하지 않은 할석으로 2단 이상을 외부에 쌓아 단을 조
성하였다. 상층문지와 관련되어 있는 계단식석렬의 하부에서 확인되고 있어 전체적인 규모를
파악하기 힘드나, 현재 확인된 규모는 너비 약 2.9m, 길이 약 6.8m이다. 각 계단의 높이는 약
40cm 정도이다. 동쪽의 측벽열이 조선시대 계단식석축열 하부에서 확인되는 석렬과 이어지는
양상이 미약하게 확인된다.
오산 독산성 북문지 일원 조사성과와 변화양상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