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5 - 오산학 연구 6집
P. 195

정조가 현륭원을 조성하고 능행로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이전까지 삼남대로의 노선을 따
                                          13)
                라 과천을 지나쳐갔던 능행로를 , 1795년 을묘원행(乙卯園行)을 앞두고 금천(衿川, 현재의 시
                                                            14)
                흥)을 경유하는 새로운 능행로로 변경하기도 하는 등  능행로를 정비하고 개선하는 데에도 많
                은 공력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능행로의 마지막 관문이었던 세람교가 얼마나 중요하게 다뤄졌는지는 몇몇 기록들
                을 통해 알 수 있다. 정조17년(1793)에서는 왕이 수원부의 관리 상황을 못마땅해하며 세람교 앞
                                                      15)
                길을 손본 것에 대해 크게 화를 내기도 하였고 , 순조 즉위년(1800)에는 예조에서 산릉의 경계
                                                                     16)
                를 정하며 안녕리와 세람교 일대를 능소에 소속시키기도 하였다 . 순조4년(1804)에는 왕의 명
                에 따라 현륭원의 묘소를 살피고 온 신하들의 말에 따라 세람교에 나무를 심도록 지시하기도 하
                    17)
                였다.
                 이처럼 세람교는 국가적 차원에서 능원과 함께 관리된 중요한 시설물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최후에는 세람교 일대가 능소에 소속되기도 하는 등 능행에 주요한 교두보였음을 알 수

                있다.














                13) 『정조실록』권28, 정조13년10월5일 정사
                  영여(靈轝)가 둑도(纛島)에서 출발하여 과천에 머물렀다.…
                14) 『정조실록』권39, 정조18년4우러2일 무오
                  "현륭원에 거둥할 때의 연도에 있는 지방 가운데 과천(果川) 지역은 고갯길이 험준하고 다리도 많기 때문에 매번 거둥할 때를
                 당하면 황송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누를 길이 없습니다. …전후의 도신(道臣)들이 모두 금천으로 오는 길이 편하다는 내용을 이
                 미 진달하였었습니다. 신이 이번에 살펴본 바로는 비단 거리의 멀고 가까움에 현저한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지대가 평탄하고
                 길이 또한 평평하고 넓으니 이 길로 정하는 것은 다시 의논할 필요가 없습니다.…“
                15) 『일성록』, 정조17년(계축)11월16일
                16) 『일성록』, 순조즉위년(경신)10월22일
                  예조가 아뢰기를, “산릉의 경계를 정하였으니, …형제동(兄弟洞)에서부터 성황산(星皇山)·대황교(大皇橋)·작현(鵲峴)·안녕
                 리(安寧里)를 거쳐 세람교(洗藍橋)에 이르는 곳까지를 전부 능소(陵所)에 소속시켰습니다. 노적봉(露積峯)을 원소의 외안산(外
                 案山)으로 정하였고, 독성산성(禿城山城)의 양산봉(陽傘峯)을 능소의 외안산으로 정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경계를 정하
                 였습니다.”
                17) 『순조실록』권6, 순조4년10월30일 을유
                  건릉(健陵)과 현륭원(顯隆園)을 봉심(奉審)했던 각신(閣臣)과 영돈녕 김조순(金祖淳)을 소견하였다.…”…세람교(細藍橋)에 나무
                 를 심는 것, 독성 남쪽에 암문(暗門)을 설치하는 것…”하니, 모두 그대로 따랐다.


                                                                       烏山지역의 옛 交通路 硏究  193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