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 오산학 연구 6집
P. 181

Ⅰ. 머리말





                 교통로는 육로, 수로, 항공로 등을 포함한 교통에 이용하는 길을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공동

                체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편의시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교통로는 단순 통행 흔적만이 아닌
                유통·교류의 중요한 증거로서 작용한다.

                 특히 조선시대의 교통로는 중앙 관서인 공조의 속아문인 영조사가 직접 관리하고 도로의 규
                격 및 등급에 대한 세밀한 규정을 설정하는 등 국가적으로 설정한 규제 하에 관리할 만큼 그 중
                요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오산시는 수도권 서남부에 위치하여 동쪽으로는 경부고속도로, 서쪽으로는 평택파주
                고속도로, 남쪽으로는 평택제천고속도로, 북쪽으로는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하며, 수
                도권 전철1호선 및 국도 제1호선 등 고속도로, 철도, 국도가 통과하는 산업과 교통의 요충지로

                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
                 조선시대의 기록을 통해 오산지역이 속한 수원 일대가 남도의 요충지라고 인정하고 있으며 ,
                조선시대 고지도·고문헌 상에서는 오산지역을 포함한 화성·수원 일대에 삼남(三南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지방과 중앙을 연결하는 조선의 중심도로 중 하나인‘삼남대로’가 통과하는 것을
                                                                              2)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이 삼남대로를 복원·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을 통해  삼남대로의 중요성
                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삼남대로’를 중심으로 오산의 옛 교통로에 대해 알아보고 문헌 및 고지
                도에서 그 증거들을 찾아 분석하여 한반도에서 오산지역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제고해보고

                자 한다.










                1) 『세종실록』권127, 세종32년1월15일 신묘
                2)  경기문화재연구원, 2014, 『삼남길·의주길 연구』, 경기옛길 삼남길·의주길 개발 및 활용 연구보고서1
                  경기문화재연구원, 2014, 『옛길의 조성과 활용, 어떻게 하였는가?-삼남길·의주길을 중심으로-』,
                                     경기옛길 삼남길·의주길 개발 및 활용 연구보고서2
                  경기문화재단, 2016, 「역사문화탐방로의 현재와 미래적가치」, 2016 경기옛길 학술대회
                  경기문화재단, 2017, 「역사문화탐방로로서의 경기옛길 활성과 방안」. 2017 경기옛길 학술토론회
                  경기문화재단, 2019, 『경기옛길 연구 성과 목록화 연구 보고서』


                                                                       烏山지역의 옛 交通路 硏究  179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