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오산문화총서 7집
P. 42

9. 집수시설



                집수시설은 외부에서 1기가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외부의 중앙부에서 확인되었으며, 조선시
               대 기저부조성층과 인접하여 조성되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기반층에서

               약 100㎝ 굴착한 후, 노두에 덧대어 할석을 2~3단 쌓아올려 시설을 조성하였다. 평면형태 ‘L’자
               로 배수로를 조성하였으며 타원형으로 약 150㎝를 굴착한 수혈로 이어져 물이 모이도록 축조되

               었다. 수혈의 남쪽벽에는 물의 영향으로 인한 토양의 변화가 뚜렷하게 확인된다. 내부층위로 볼
               때, 인위적인 폐기양상이 확인된다. 조사지역의 하단부에서는 대부분 물이 자연적으로 출수되
               고 있어 이를 집수하기 위한 시설이거나, 우물을 탐색하기 위해 조성되었던 일시적인 시설로 추

               정된다. 남쪽 상단에는 가공하지 않은 할석을 2~3단 쌓아올려 측벽을 조성하였던 흔적이 부분
               적으로 확인된다. 집수시설 내부에서는 조선시대 기와편, 백자편, 전돌, 석제 무게추 등이 확인
               되었다.





































               사진 17. 상 : 집수시설 전경 및 세부, 좌하:4호 주거지, 1호 수혈유구, 우하: 우물)








               40  서승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