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오산문화총서 7집
P. 41
7. 소성유구(하층)
소성유구는 3호 주거지의 하부에서 중복되어 확인되었다. 중복으로 인해 전체적인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아궁이만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내부에는 백자편이 정치되어 있
는 상태로 확인되었다.
사진 16. 조선시대 야외노지 전경 및 세부(상), 조선시대 소성유구 전경 및 세부(하)
8. 야외노지
야외노지는 내부의 동쪽일대에서 확인되며, 2호건물지 상면을 이용하여 조성되었다. 점토를
이용하여 대지를 부분적으로 성토한 후 부뚜막을 조성하였다. 2기의 아궁이와 소성흔적이 확인
되었으며, 두 개의 아궁이가 연접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양노식으로 조성하여 이용하였던 것
으로 추정된다.
야외노지 주변에서는 조선시대 기와편, 백자편 등이 확인되었다.
오산 독산성 북문지 일원 조사성과와 변화양상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