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오산문화총서 7집
P. 40

사진 15. 조선시대 주거지(좌상 : 1호주거지, 우상 : 2호주거지, 좌하 : 3호주거지, 우하 : 4호주거지 및 1호수혈유구)


               6. 주거지



                주거지는 내부에서 3기, 외부에서 1기가 확인되었다. 1호 주거지는 조사지역 서쪽경계에 인접
               하여 확인되었으며, 구들열 일부만이 확인되었다. 잔존양상으로 볼 때, 전체적인 형태는 장방형

               으로 추정된다. 2호 주거지는 조사지역 중앙에서 남쪽 경계에 맞물려 확인되었으며, 소성된 흔
               적들과 할석들로 미루어 볼 때, 아궁이의 흔적으로 추정된다. 3호 주거지는 동쪽일대에서 확인
               되었다. 평면형태는 전체적으로 장타원형으로 공간조성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며, 등성시

               설을 해체하고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4열의 구들과 양로식 아궁이가 확인되었다. 외곽의 대
               형의 할석들은 주거지의 경계를 위해 시설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3호 주거지 하부에는 선대
               유구가 확인되는데 아궁이만 일부 확인되었다. 외부에서 확인된 4호 주거지는 조사지역 서쪽

               일대에서 확인되었으며, 조선시대 기저부보강층에 인접하여 조성되었다. 평면형태는 전체적으
               로 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아궁이가 남동쪽에서 확인되었다. 내부에는 황갈색사질점토를 이

               용하여 다짐층을 조성하였고, 이후 화재로 인하여 폐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지 내부에서는
               조선시대 백자편 등이 확인되었다.




               38  서승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