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 오산시 지명과 유래
P. 6

가면  갯벌  흙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3월  하순에서  4월  초순쯤이면  갈매기가  금오

                  대교까지  올라와  날며  오산천에서  고기를  낚아채  먹는  것을  필자는  매년  봐왔다.
                  특히,  옛  지명에  포구(浦口)를  표현하는  위포(은계동-한국전쟁시  미공군  지도에도
                  표기되어  있었다),  초평동의  어인포(魚仁浦),  탑동대교  밑  황새포,  갈곶동의  갱변(강
                  변),  가장동의  배문이  등의  지명이  있는  걸로  봐서  옛날에는  아주  작은  소금선  정
                  도는  다니지  않았을까  생각도  들며,  실제로  나이  드신  분들은  배가  오산천에  다녔

                  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한다.  1970년초만  해도  오산천은  물이  맑고  깨끗해  멱  감고,
                  물고기  잡아  오산천  물  떠서  천렵찌개도  끓여  먹은  기억들을  그  당시  사람들은  갖
                  고  있다.  오산천에는  붕어,  모래무지,  피라미,  메기  등  많은  물고기가  서식했고,  한
                  가지  흠이라면  맑은  물에  산다는  거머리가  많았다.  장마가  질  때면  오산천이  범람
                  할  것처럼  많은  물이  흘렀다.  한  번은  제방이  붕괴된다고  해서  대피  명령에  따라

                  갈곶동  또는  현  오산대가  있는  청학산으로  피난간  적도  있다.  이러한  오산천은  옛
                  날에도  오산의  중심가를  흘러갔고  지금도  마찬가지로  오산의  젖줄이  되어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이만한  혜택을  누리는  도시는  그리  많지  않다는  생각도  든다.  잘  가꾸
                  고  보존해야겠다.





































                                                          오산천





                  ■  오산장(터)








                                                          -  6  -
   1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