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오산학 연구 6집
P. 22
표 1. 독산성 학술조사 현황표
조사면적
조사명 조사기간 조사결과 비고
(단위:㎡)
2016.10.26.~ 성벽 및 내부시설
정밀지표조사 127,315
2016.11.25. 정밀지표조사
2017.04.10.~ Tr.24기 조사
시굴조사 8,500
2017.05.20. 조선시대 건물지, 수혈주거지, 수혈유구, 주혈 등
2017.09.18.~ 축대 4기, 조선시대 건물지2기, 석축유구2기,
1차 발굴조사 700
2018.03.16. 배수로 1기
삼국(신라)시대 수혈유구 3기, 조선시대 축대 8기,
2018.05.23.~ 건물지 6동, 주거지 8기, 수혈유구 4기, 구상유구
2차 발굴조사 2,500
2018.09.14. 1기, 석축시설 2기, 통행시설 1기, 배수로 6기,
배수시설 1기 총 40기
2018.12.03.~ 삼국(신라)시대 성벽
3차 발굴조사 160
2019.05.31. 고려~조선시대 성벽
삼국(신라)시대 성벽, 주혈 3차
발굴 250
고려~조선시대 성벽 발굴연장
2019.7.25.~ 트렌치 7개소 설치
4차 발굴조사
2019.12.18. - 삼국(신라)~조선시대 성벽
시굴 4,300
- 삼국시대 석축시설
- 조선시대 문지, 등성시설, 석축시설
금번 조사지역은 해발 183~194m의 치1에서 북문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크게 발굴조사
지역과 시굴조사지역으로 구분된다. 발굴조사지역은 북동치 하부에서 삼국~조선시대의 성벽
이 조사되었으며, 수구 및 치가 일부 확인되었다. 원성벽 및 수구 등의 정확한 형태와 진행방향
등을 확인하는 추가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학술 및 기술자문회의에서 제기되어 250㎡에 대
한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시굴조사지역은 당초 성벽 안전진단에서 북문지 주변에 대한 붕괴
우려로 인하여 복원정비를 계획하고 있었고, 북동치와 마찬가지로 성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
여 원래의 문지 및 성벽의 존재여부 등 기초자료를 추가로 확보하고자 조사를 실시하기로 하였
다. 보수구간의 면적이 다소 넓어 발굴조사보다는 시굴조사를 선행하여 면적 4,300㎡에 대한
시굴조사를 통하여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한 후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
되어 추가 발굴조사와 함께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고는 2019년 조사분에 해당하는 북동치 및
북문지 일원에 대한 조사성과를 간단히 살펴보겠다.
20 박현준·서승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