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오산학 연구 4집
P. 17
Ⅰ. 들어가며
오산 독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는 한신대학교박물관이 1999년에 실시한 지표조사를 시작
으로 2016년까지는 제한적인 시굴 또는 발굴조사만 이루어진 까닭에 독산성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다행히 최근 중부고고학연구소와 한신대학교박물관이 공동으로 학술 발굴
조사를 진행하면서 독산성 내부의 구체적인 양상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는 상황이다.(표 1 참조)
【표 1】 오산 독산성 고고학 조사 현황
보고서명 조사기관
독성산성 지표조사 결과보고서 - 독성산성 내부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박물관, 1999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시굴조사보고서 기전문화재연구원, 2001
오산 독산성 - 오산 보적사 요사채 증·개축부지 문화재 시(발)굴조사 - 고려문화재연구원, 2016
오산 독산성 일원 지표조사 보고 이남규외, 2017
중부고고학연구소·한신대학교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발굴(시굴)조사 용역 약식보고서
박물관 2017
중부고고학연구소·한신대학교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2차 정밀발굴조사 용역 약식보고서
박물관 2018
물론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헌에 의하면, 독산성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권율장군과 의병장
김천일 등이 왜군을 물리친 곳이며, 인조를 비롯하여 영조, 사도세자, 정조 등 국왕과 왕세자가
여러 차례 행차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수원 화성이 완공된 후에 독산성은 화성과 함께 수원부를
방어하는 협수체제를 구축하였다. 독산성은 이와 같은 역사 기록과 산성의 존재를 근거로 1964
년에 사적 제14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까지 독산성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문헌기록만으로 이루어져왔다면, 앞으로는 이와 더불
어 고고학 조사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독산성의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
하다. 발굴조사를 통해서 運籌堂, 鎭南樓, 官廳, 四倉, 五倉, 軍器庫 등 문헌에 등장하는 독산성
내의 주요 시설물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독산성의 역사는 유
물, 유구와 같은 고고학자료를 검토함으로써 비로소 밝혀질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조선시대 이전의 독산성의 역사를 규명하기 위해서 먼저, 삼국시
오산 독산성 백제·신라 유물의 고고학적 의의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