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8 - 오산학 연구 5집
P. 318
제에 관해서는 이것을 粟·麥·豆 등 주곡재배로서 파악하기로 한다.
논의 경우— 먼저 논 1결의 수확에 관해서 살펴보자. 일반기록으로서 결당 수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세종 26년 11월 전제상정소에서 상정한 바 의정사항에서이다. 이에 의하면
각 등 논 1결에서는 대략 53.3石이 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上上年의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평년이나 흉년의 경우에는 이보다 내겨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
라서 이 수치가 결당 수확의 표준수치가 될 수는 없다. 한편 김재진 씨는, 세종조보다 50여 년
앞선 공양왕조의 그것을 45석으로 보고 있으며, 불과 50여 년 사이에 8석 여의 차이가 있게 된
것을 주로 상상년을 기준으로 한 데 돌리고 있다. 그리하여 씨는 평년작의 경우에는 45석을 결
당 수확으로 보고, 米로써 따지면 1결은 20석이 산출되는 지적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광해군과 인조조의 사정에 관해서는 이조참판을 역임한 조익을 통해서 그 사정을 엿볼 수 있
다. 그에 의하면, 전품의 비척과 연분의 여하에 따라 결의 수확은 다양하였다. 즉, 풍년작일 경
우에는 4, 50석, 평년작일 경우에는 2, 30석, 흉년작일 경우에는 1, 20석이었다. 조선초기의 그
것과 비교하면 결당 수확이 감소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주된 이유는 임란의 영향으로 초토화
되었던 농토가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데 연유하는 것일 것이다.
숙종 이후에 관해서는 성호와 다산에서 살필 수 있다. 성호에 의하면, 삼남지방의 상등답 1두
락에서는 60두가 산출되고, 박답 1두락에서는 10두가 산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호남의 예로
서 상등답 1결을 20두락, 박답 1결을 40두락으로 보면, 상등답 1결에서는 1,200두, 박답 1결에
서는 400두가 산출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평답에서는 그 중간인 800두=40석이 1결에서 수확
된다고 할 것이다. 다산의 의하면, (1) 상상답 1두락에서는 5석이 산출되고 하하답 1두락에서는
1석이 산출되고 있다. 다산은 호남지방의 상등답 1결을 20두락, 박답 1결을 40두락으로 보고 있
으므로, 상등답 1결에서는 100석이 산출되고, 하하답 1결에서는 40석이 산출되는 셈이다. (2) 1
결의 수확을 많으면 800두=40석, 적으면 600두=30석, 아주 하등답은 400=20석이라고 말하
고 있다. (1)과 (2)를 종합해 보면 미답일 경우에는 100석 이상의 수확을 거두는 자도 있으나, 보
통은 40석 내외의 추수를 올리는 정도이고, 박답일 경우에는 2, 30석 정도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성호와 다산의 시대, 즉 조선후기에는 결당수확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고, 농지
의 비척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은 이중환에 의해서도 지적되고 있다. 그
는 최상답은 1두로써 140두를 추수하고, 최하답은 30두에도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평답 평년작으로서는 대체로 40석 내외가 표준이 되고 있었다고 말하고 있
다. 그러므로 조선후기의 평답 평년작의 결당 수확고를 대략 40석 내외였다고 보면 대과 없을
316 이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