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오산학 연구 2집
P. 43

레와 높이 여장의 규모와 수량, 내부 건축물의 규모 등이 기록되고 있는 차이점이 확인되어 성

                의 규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기록된 성의 둘레에 있어 문헌
                마다 10~900m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영조척, 주척, 보, 리 등 다양한 도량형이 사용되어
                기록자에 따라 각자가 사용하는 도량형에 따른 차이로 생각되고 또한, 당시의 도량형을 현재

                의 미터법으로 환산하는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규모가 가장
                정확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은 왕실기록으로 기록에 있어서 국가에서 사용

                하던 도량형으로 표기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며 미터법으로 환산한 둘레가 현재의 독산성 둘레
                1,095m와 가장 근접하기 때문이다.



                <표1> 문헌자료에 나온 성곽의 규모와 시설물          22)

                    문헌명        시대           규모               시설물                  비고
                    조선        1792년   둘레 1004보                            둘레 1004보 = 1,205m
                   왕조실록      정조16년    성첩 309보                             성첩 1보 = 3.90m

                                      둘레 5리                               둘레 5리 = 2,100m
                  수원부읍지       1793년   성첩 303첩         중영, 산창, 진남루         성첩 1첩 = 4m
                                      높이 3장                               높이 3장 = 9.09m

                   만기요람       1808년   둘레 1,800보                           둘레 1,800보 = 2,159m

                                                      운주당, 삼문, 진남루,
                                                      아전청, 장교청, 관청,
                                      둘레 1010보(5리)                        둘레 1010보 = 1,212m
                    화성지       1831년                   사창, 오창, 군기고,
                                      성첩 309첩                             성첩 1첩 = 3.92m
                                                      보별고, 무고, 동고,
                                                      서고, 보적사, 장대

                                                      운주당, 삼문, 진남루,
                                      둘레 1010보(5리)    아전청, 장교청, 관청,       둘레 1010보 = 1,212m
                  수원군읍지       1899년
                                      성첩 309첩         사창, 군기고, 보적사        성첩 1첩 = 3.92m
                                                      장대




                  조선시대의 기록을 종합해보면 조선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던 古城인 독산성이 임진왜란 당
                시 독산성전투 등을 통해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하면서 1592년 유근의 보수를 시작으로 지속적





                22) 오산시, 2016,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종합정비계획』 . p43 표2-4 일부수정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변천  41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