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한눈으로 보는 오산역사
P. 10

10





            철기시대에 들어간다.
            오산의 청동기시대 유적은 금암동 고인돌을 비롯하여, 외삼

            미동, 지곶동, 가장동에서 확인된 몇몇 고인돌 유적만 알려
            져 있었지만, 최근 대규모 택지개발과 이에 수반된 발굴조사

            가 이루어지면서 집터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유적이 확인되
            고 있는 상황이다. 발굴결과를 살펴보면 현재는 세교 신도시

            로 개발된 오산 내삼미동, 궐동, 청학동, 탑동 일원은 원래
            청동기시대 마을이 있었던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낮

            은 구릉상에 자리 잡았던 유적은 모두 사라졌으며, 그 자리                   호 주거지의 연대는 서기전 10~9세기로 나왔다.
            에는 높은 고층 아파트와 상가들이 즐비하게 들어서 있다.                    탑동·두곡동유적은 청동기시대 집터 10기, 구덩이 2기, 무

            오산의 청동기시대 유적은 금암동 고인돌을 비롯하여, 외삼                    덤 6기(지석묘1, 석관묘2, 석개토광묘2, 옹광묘1)가 발굴되었
            미동, 지곶동, 가장동에서 확인된 몇몇 고인돌 유적만 알려                   으며, 철기시대 옹관묘도 1기 확인되었다. 이 유적은 마을 구

            져 있었지만, 최근 대규모 택지개발과 이에 수반된 발굴조사                   성에서 주거지뿐만 아니라 무덤이 함께 보인다는 것이 중요하
            가 이루어지면서 집자리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유적이 보고                     다. 이 유적의 지석묘와 석관묘 등 무덤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되고 있는 상황이다. 발굴결과를 살펴보면 현재는 세교 신도                   속하는 것으로, 주거 가운데 일부도 같은 시기에 공존한 것이
            시로 개발된 오산 내삼미동, 궐동, 청학동, 탑동 일원은 원                  다. 넓은 의미의 마을고고학에서는 생활영역인 가옥과 사후영

            래 청동기시대 마을이 있었던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역인 무덤, 그리고 생산, 저장, 의례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경향
            내삼미동유적은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에 걸치는 집터                      이 강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탑동, 두곡동유적은 앞

            40기가 발굴된 대규모 유적이다. 규모가 가장 큰 집터는 길                  서 설명한 주거지로만 구성된 내삼미동유적과는 성격이 다르
            이가 22m에 달하며, 너비는 3.3m이다. 이 유적에서는 주거                다. 마을의 발전 과정에서 무덤의 등장, 그리고 군집화는 농

            지와 구덩이 등에서 토기와 곡옥, 석기 등 유물 총 362점이                 경사회의 정주도와 관련된다는 연구가 있다.
            나왔다. 이 유적의 주거지 40기가 모두 같은 시기에 존재하                  오산 청학동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무덤과 의례공간

            지는 않았으며, 동시기에 공존한 가옥의 수는 20여 동을 넘                  이 확인되었다. 무덤은 목관묘 1기만 조사되었으며, 내부에서
            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오산지역 마을의 형성과 발전이                   는 점토띠토기 1점과 흑색간토기목긴항아리 2점이 나왔다. 무

            라는 측면에서 볼 때, 내삼미동유적은 최초의 마을로 볼 수                   덤과 다른 구역에서 확인된 의례공간은 타원형의 도랑을 판
            있을 것이다. 물론 이보다 더 앞선 시기의 마을 유적이 새롭                  환구(環溝)를 말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서 집터 등 생활 유구의

            게 발굴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절대연대가 측정된 14호, 17                흔적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주거공
                                                               간을 감싸면서 경계나 구획, 또는 방어시설로 사용된 환호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도랑 시설은 경
                                                               기남부지역에서 많이 확인되는데, 특히 수원, 화성, 오산지역

                                                               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의례시
                                                               설을 하늘과 관련된 천신숭배와 연결시키는 연구도 있다.
   5   6   7   8   9   10   11   12   13   14   15